개인은 블록체인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
직접 블록체인 노드를 운영할 수도 있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일부 노드를 운영하며 생태계 기여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일반인이 가장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하여 거래소로부터 가상화폐를 구매하여 지갑으로 옮겨 담은 후 사용하는 방법일 것이다. 블록체인 지갑이 무엇일까? 현실세계의 지갑이 현금과 카드, 신분증 등을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는 것처럼, 블록체인 지갑은 사용자가 비트코인, 이더리움 및 기타 암호화폐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도구이다.
Wallet 블록체인 지갑
: 블록체인 지갑은 사용자의 가상화폐 계정을 제어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공개/비공개 키를 저장하며 사용자의 신원을 증명하고 자산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디지털 지갑이라고 하면 지갑 안에 암호화폐가 저장되어있을 것 같은 오해를 사기 쉽다. 디지털 지갑은 물리적 지갑처럼 대부분의 사람들이 디지털 자산을 관리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이지만, 물리적 지갑과 달리 블록체인 지갑에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이 담겨있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의 자산은 네트워크에 보관되어있고, 이 지갑은 사용자가 가상화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 일종의 키라고 보는 것이 맞다. 지갑은 사용자로 하여금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고 잔액을 확인하며 거래를 전송하고 신원을 검증하는 데 사용된다.
Key cryptography 키 암호화
블록체인 지갑을 이해하기 위해 key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key를 이용해 암호화/복호화 하는 방식을 key 암호화라고 한다.
- 대칭키 방식
: 하나의 키값을 주고, 그 키로 암호화/복호화를 하는 방식.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키값을 탈취당할 경우 보안이 심각하게 취약해진다. - 공개키-개인키 방식
: 암호화할 때에는 공개키를 사용하고, 복호화할 때에는 개인키를 사용하는 방식.
대칭키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블록체인 지갑은 이렇게 key 암호화 방식을 이용해 구현되어있는데, 다음과 같은 지갑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성이 높으면 안정성이 약하고, 안정성이 높으면 사용성이 약하다.
- Paper wallet
: 키값을 종이에 적어서 보관하는 방식. 네트워크로부터 독립적이기 때문에 보관만 잘 한다면 상당히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 Cold wallet
: usb와 유사한 형태로, 역시 네트워크에 독립적이기 때문에 안전하지만 가상화폐를 사용할 때마다 지갑을 따로 연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 Hot wallet
: 네트워크가 연결된 pc나 모바일 환경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식. 네트워크 의존적이기 때문에 탈취의 가능성이 높지만 그만큼 간편하다.
대부분이 많이 사용하는 MetaMask를 설치하고 사용해보도록 하자.
The Ultimate Crypto Wallet for DeFi, Web3 Apps, and NFTs | MetaMask
Secure and User-Friendly Crypto Wallet for NFTs and Digital Tokens. Dive into DeFi and Blockchain Seamlessly.
metamask.io
metamask에 접속해 download for chrome 한 후, 지갑을 생성해준다.
위와 같이 지갑을 생성했다.
Account 1이라고 표시되는 지갑주소를 확인할 수 있는데, 아래 일련번호는 public key로 은행계좌라고 생각할 수 있다.
현재 네트워크가 Ethereum Mainnet으로 설정되어있는데, 실제 가치를 지니는 체인, 즉 실제 가상화폐를 소비해야하는 체인이라서 각종 테스트를 진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Pos Amoy testnet으로 네트워크를 변경해주어야 한다.
그런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실습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가상화폐가 필요하다. 그래서 무료로 일정량의 테스트넷 비트코인을 배포하는 서비스인 faucet을 통해 코인을 얻어 사용해야한다.
polygon faucet에 접속하여 네트워크를 PoS Amoy로 설정한 후, Wallet Address에 내 지갑의 주소를 복사하여 붙여넣고 submit하여 faucet을 받을 수 있다.
이제, 내 지갑의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polygon testnet에서 여러가지를 실습해볼 수 있다.
'Study >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ockchain] #06_Smart Contract & Solidity 스마트 컨트랙트 작성 (0) | 2024.07.18 |
---|---|
[Blockchain] #05_Smart Contract Introduction 스마트 컨트랙트 개념 (0) | 2024.07.18 |
[Blockchain] #03_Merkle Tree in Blockchain 머클트리&트랜잭션 (0) | 2024.07.18 |
[Blockchain] #02_Blockchain structure 블록체인 구조 (0) | 2024.07.16 |
[Blockchain] #01_Blockchain Introduction 블록체인의 기초 (0) | 2024.07.16 |